[JAVA] 21.06.02
//메소드
/*
* 자바는 클래스를 정의하고 정의된 클래스의 객체를 만들어서
* 여러가지 기능적인 일을 처리하도록 하는 객체지향 언어입니다.
* 위에서 기능적인 일을 담당하는 것이 메소드 입니다.
*
* 메소드는 우리가 산수 시간에 배웠던 함수와 같은 개념입니다.
* 특정 기능(또는 일)을 수행하도록 메소드를 정의하고
* 그 일이 필요할 대마다 해당 메소드를 호출해서 사용합니다.
*
* 이렇게 하는 주요 이유는 같은 일을 수행하는 것을 반복적으로
* 코딩하지 않아도 되는 큰 이점이 있어서 입니다.
*
* 메소드의 기본형식
* [접근지정자] 리턴타입 메소드명([파라미터],[파라미터){
* //메소드 구현부, 즉 메소드가 할 일 = 명령문
* }
*
* []안의 내용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됩니다. 나머지는 필수!
*
* 접근지정자는 추후에..
*
* 리턴 타입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.
* 리턴할 값이 없을 때는 void,
* 리턴할 값이 있을 때에는 리턴되는 값의 타입을 적어줘야 합니다.(p,r 공통)
*
* void 타입의 리턴일 때는 메소드가 값을 리턴하게 될 경우 에러!
* 그 반대의 경우에도 에러가 납니다.
*
* 메소드 파라미터는 없어도 되고 있어도 됩니다.
* 하나 또는 여러개를 나열할 수 있습니다.
* 반드시 데이터 타입과 변수명을 적어야 합니다.
* 하나 이상을 나열할 경우에는 각 변수 사이에 ,을 찍습니다.
*
* 값을 되돌려 줄 때에는 return을 적고 반환할 변수나 값을 적어줍니다.
*
* 메소드 실행 중에 return을 만나면 return 이후의 실행은 무시되고
* 메소드가 종료됩니다.
*
*/
//메소드 오버로드(오버로딩)
//파라미터의 수, 순서, 타입이 다릅니다.
//파라미터가 다르면 같은 이름으로 메소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.
/*
* 메소드는 클래스에서 특정기능을 담당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* 정의시 컴파일러는 같은 메소드로 중복 정의가 있는지 확인합니다.
* 확인 기준 요소는 메소드 이름과 메소드 파라미터 입니다.
* 이중 파라미터는 다시 세가지로 구분됩니다.
*
* 파라미터 갯수, 순서, 타입으로 구분합니다.
* 위 세 가지 요소를 통칭하여 메소드 시그니쳐라고 합니다.
*
* 만약 정의된 메소드 이름과 시그니쳐까지 같다면 같은 메소드로
* 인식하여 에러가 납니다.
*
* 만약 시그니쳐 중 하나라도 틀리면 다른 메소드로 인지합니다.
* 다라서 필요 시 같은 이름으로 메소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.
* 단, 시그니쳐를 다르게 정의해야 합니다.
*
* 이렇게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시그니쳐만 다르게 해서 정의하는 것을
* 오버로딩/오버로드 라고 합니다.
* 호출 시에는 반드시 호출하려는 메소드의 시그니쳐에 맞게
* 호출해야 합니다.
*
* 오버로딩 != 오버라이드 전혀 다른 기술입니다!!
*/
/*
* 오버라이드
* 상위 클래스(!!)에 있는 메소드와 동일한 메소드를 만들어
* 기능을 재정의(!!) 하는 것
* 상속(!!)에서 사용합니다.
*
*
* 오버로드
* 한 클래스 내에서 같은 이름의 메소드가 있으면 안됩니다.
* 단, 파라미터가 다르면 같은 메소드 명을 허용합니다.
* 파라미터의 갯수, 순서, 타입이 다르면 다른 메소드입니다.
* 메소드를 호출할 때 파라미터로 구분합니다.
*
*/
jar파일 다운로드
프로젝트 우클릭 -> Build Path -> Configure Bulid Path -> libraries탭 ->
Classpath 선택 -> Add External JARs... -> 추가 후 Close